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스터디

GTX 노선 개발 배경과 기획, 승인 과정 알아보기

반응형

📍 GTX 노선 개발 : 수도권 교통혁명의 시작

경기도 지역으로의 인구 이동이 커지면서 수도권 교통난이 점차 심해지고 있었습니다. 이에 수도권 교통문제를 해결하려고자 GTX(Great Train eXpress) 노선 개발이 추진되었습니다. 10년 가량이 지난 지금 GTX A구간의 일부가 개통되어 운행되기 시작했습니다. GTX는 교통 문제뿐만 아니라 부동산 시장에도 엄청난 파급을 가져왔는데요. 주요 노선 개발 배경과 승인 과정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이후 현황은 계속해서 포스팅하겠습니다.

 

GTX부동산, GTX경기도,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GTX노선, GTX개통, GTX A노선, GTX B노선, GTX C노선, GTX양극화, GTX부동산영향

📍 GTX 노선 개발의 배경

2009년, 경기도와 대한교통학회는 수도권의 만성적인 교통난을 해결하기 위해 광역급행철도 3개 노선의 추진을 국토교통부에 공식 제안했습니다. 이후 2011년 4월, 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GTX 3개 노선이 신규 추진사업으로 반영되며 본격적인 사업이 시작되었습니다.

🔵 수도권 교통난의 심화

2010년 통계청 조사 결과, 수도권 직장인의 평균 통근 시간은 59.2분이었습니다. 전체 통근자의 58%가 1시간 이상, 24%가 1시간 30분 이상 소요됐습니다. OECD 국가 중 최장 통근 시간 한국의 통근 시간은 OECD 평균의 2배, 2위 일본보다 1.5배 길었습니다. 수도권 교통난 해소가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습니다.

🔵 신개념 광역교통수단의 필요성 대두

수도권 급속 성장과 신도시 개발로 교통량이 폭증했습니다. 기존 교통 인프라로는 한계에 봉착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새로운 광역 교통수단 도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 초기 구상 및 기획 단계

🔵 GTX(Great Train eXpress) 의 탄생

2009년 4월, 경기도에서 GTX 사업을 최초로 제안했습니다. 수도권 교통난 해소와 장거리 통근자의 교통 복지 향상이 목표였습니다. 수도권 외곽에서 서울 도심 주요 거점을 30분대에 연결하는 획기적인 계획이었습니다.

 

🔹 GTX의 특징

  • 지하 40m 이하 터널 건설
  • 노선 직선화
  • 표정속도 시속 100km (최고 시속 200km)
  • 기존 전철보다 3배 이상 빠른 속도

📍 정책 결정과 승인 과정

🔵 예비타당성 조사

2009년 GTX 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가 시작되었습니다. 대규모 국책사업의 첫 관문입니다.

🔵 국가계획 반영

  • 2010년: 수도권광역경제발전위원회에서 GTX를 18개 공동 우선추진과제에 포함
  • 2011년: 국토해양부의 국가기간교통망계획 2차 수정계획에 반영
  • 2011년: 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시행중 사업으로 포함

🔵 정부 승인

2013년 박근혜 정부 인수위원회 140개 국정과제에 GTX가 반영되면서 사업 추진에 탄력을 받게 되었습니다.

🔵 정부 계획 반영 및 본격 추진

GTX 사업은 점차 정부 계획에 반영되며 구체화됐습니다.

  • 2011년 : 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포함
  • 2013년 : 국정 과제로 선정
  • 2014년 :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3개 노선(A, B, C) 추진 결정

🔵 초기 노선 계획

초기에는 다양한 노선이 제안되었습니다. 이 중 현재의 A, B, C 노선으로 정리되어 추진되고 있습니다.

1. 일산 ~ 수서(동탄)
2. 송내 ~ 청량리
3. 의정부 ~ 금정
4. 오류동 ~ 삼성

🔵 GTX 노선 계획

 GTX 자세한 노선도는 아래 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www.gg.go.kr/contents/contents.do?ciIdx=497&menuId=1850

GTX부동산, GTX경기도,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GTX노선, GTX개통, GTX A노선, GTX B노선, GTX C노선, GTX양극화, GTX부동산영향

 

🔹 현재 추진 중인 노선

  1. GTX-A : 파주 운정 ~ 화성 동탄 (82.1km)
  2. GTX-B : 인천대입구 ~ 남양주 마석 (82.7km)
  3. GTX-C : 양주 덕정 ~ 수원 (74.8km)
  4. 서부권 광역급행철도(GTX-D) : 김포 장기 ~ 부천 종합운동장 (21.1km)

🔹 추가 노선 검토 중

  • GTX-E : 인천 ~ 구리·남양주 연결
  • GTX-F : 수도권 거점 지역 순환

GTX부동산, GTX경기도,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GTX노선, GTX개통, GTX A노선, GTX B노선, GTX C노선, GTX양극화, GTX부동산영향

🔵 GTX 노선별 개발 현황

노선 구간 길이 착공 개통 예정 특징
GTX-A 파주 운정 ~ 화성 동탄 82.1km 2019년 6월 2024년 3월(일부) 가장 빠른 진행
GTX-B 인천대입구 ~ 남양주 마석 82.7km 2024년 상반기 2030년 재정+민자 혼합
GTX-C 양주 덕정 ~ 수원 74.8km 2023년 말 2028년 민자 사업
GTX-D 김포 장기 ~ 부천 종합운동장 21.1km 미정 미정 서부권 연결

🔵 GTX-A 노선 현황

GTX-A 노선은 가장 빠르게 진행 중입니다. 현재 파주 운정~ 서울역 구간 개통되어 운행되고 있습니다.

https://www.gtx-a.com/index.do

 

GTX-A

역정보 (운정중앙역~서울역) X101운정중앙 킨텍스 환승정보 운행시간 하행(서울 방면) 첫차05:30 막차00:38 더보기

www.gtx-a.com

 

  1. 2024년 3월 : 수서 ~ 동탄 구간 조기 개통
  2. 2024년 12월 : 파주 운정 ~ 서울역 구간 개통
  3. 2025년 11월 : 전 구간 개통 (삼성역 무정차 통과)
  4. 2027년 4월 : 삼성역 개통
  5. 2028년 : 완전 개통 (삼성역 복합환승센터 완공)

🔵 GTX 개발의 기대효과

1. 획기적인 이동시간 단축

  • 동탄 ~ 수서: 79분 → 19분
  • 파주 운정 ~ 서울역: 54분 → 20분

2. 수도권 생활권 확대

  • 30분대 출퇴근 현실화
  • 수도권 주민 삶의 질 향상

3. 부동산 시장 영향

  • GTX 역세권 가치 상승 예상
  • 일자리, 편의시설, 교육환경 등 입지 여건에 따라 상승폭 차이

4. 수도권 경쟁력 강화

  • 광역 교통망 개선으로 경제 활성화 기대
  • 지역 균형 발전 촉진

GTX 노선 개발은 기존 한 시간 반이 걸리던 것이 22분으로 단축되어 지역 주민들의 큰 만족을 가져왔습니다. 부동산도 많이 올랐구요. 하지만 일부 구간만 개통되어 아직 불편한 것은 사실입니다. 완전 개통 시 부동산 시장에 여러 영향을 끼치겠죠. 부동산 시장의 중요 뉴스이기 때문에 계속 관심을 가져보려 합니다.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GTX가 끼치는 부동산 양극화 : 하이퍼 양극화의 새로운 변수

📍 GTX가 바꾸는 부동산 지도 : 하이퍼 양극화의 새로운 변수GTX(수도권광역급행철도)가 수도권 부동산 시장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30분대 출퇴근이 가능해지면서 서울 중심의 부

grayon.tistory.com

 

 

부동산 투자의 핵심 : 양극화를 넘어선 하이퍼 양극화 - 둘의 차이점은?

부동산 시장에서 '양극화'라는 단어를 넘어 '하이퍼 양극화'라는 표현이 등장했습니다. 과연 이 두 현상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점점 심해져 가는 양극화 현상에 대해 알아보고 부동산 시장에

grayon.tistory.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