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시장에서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단순한 양극화를 넘어 '하이퍼 양극화'라는 말까지 등장했습니다. 이런 현상은 지역, 주택 유형, 가격대 등 다양한 측면에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과연 부동산 시장의 하이퍼 양극화는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을까요? 부동산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 고 있는 요즘 부동산 투자에 관심있는 분들은 꼭 알아두어야 할 포인트입니다. 잘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 부동산 시장 하이퍼 양극화 (Hyper Polarization) 특징
🔵 지역 간 격차 심화
-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격차 : 부동산 시장의 양극화는 수도권과 비수도권 사이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수도권, 특히 서울 지역의 부동산 가격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반면, 비수도권 지역은 정체 또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격차는 단순한 가격 차이를 넘어 지역 경제와 삶의 질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수도권으로의 인구 유입이 가속화되고, 비수도권 지역의 경제 침체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 구체적인 수치 : 2024년 9월 기준, 서울의 주택매매가격 상승률은 2.6%를 기록했습니다. 반면 세종(-5.0%), 대구(-4.0%), 부산(-1.6%) 등 비수도권 지역은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현대경제 연구원의 보고서를 참조해 보세요.
➡ 현대경제연구원 ‘2024년 부동산 시장의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 참조
hri.co.kr/upload/board/2887055879_9tP0MDqT_20241125062650.pdf
🔵 초미시적 양극화
- 동일 지역 내 격차 : 하이퍼 양극화의 또 다른 특징은 같은 지역 내에서도 극심한 가격 차이가 나타난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서울 내에서도 강남과 강북의 격차, 심지어 같은 구 내에서도 도로 하나를 사이에 두고 천지차이가 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 초고가 주택의 영향 : 최근에는 100억원을 넘는 초고가 주택들이 등장하면서 이러한 양극화를 더욱 심화시키고 있습니다. 서민들은 생각도 못하는 이런 초고가 주택들은 일반적인 고가 주택 시장의 가격까지 끌어올리는 효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 초미시적 양극화는 같은 동네에 살면서도 전혀 다른 경제적 현실을 마주하게 만듭니다. 극단적인 양극화 현상은 지역 사회의 통합을 막고, 사회적 갈등의 씨앗이 될 수 있습니다.
🔵 주택 유형별 양극화
- 아파트와 비아파트의 격차 : 주택 유형에 따른 양극화도 뚜렷합니다. 아파트 가격은 상승세를 보반면, 연립주택이나 다세대주택 등 비아파트 주택의 가격은 정체 또는 하락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 신축과 구축의 차이 : 같은 아파트라도 신축과 구축 사이의 가격 격차가 점점 벌어지고 있습니다. '얼죽신'(얼어 죽어도 신축)이라는 신조어가 생길 정도로 신축 아파트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주거 선택의 폭을 좁히고, 특정 유형의 주택에 대한 과도한 수요 집중을 야기합니다. 결과적으로 주택 시장의 불균형을 더욱 심화시키는 요인이 됩니다.
🔵 가격대별 양극화
- 고가주택과 저가주택의 격차 : 부동산 시장의 양극화는 가격대에서도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고가 주택의 가격은 계속해서 상승하는 반면, 저가 주택의 가격은 정체되거나 하락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 구체적인 수치 : 2023년 주택소유통계에 따르면, 주택 보유 가구 중 상위 10%와 하위 10%의 집값 격차가 40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주택소유통계 참조
https://eiec.kdi.re.kr/policy/materialView.do?num=262923&pg=&pp=&device=&search_txt=&topic=&type=&depth1=&depth2=
2024년 12월 주택 통계 | 경제정책자료 |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국토교통부는 2024년 12월 기준 주택통계를 2.5.(수) 공표하였다. - 12월 인허가 실적은 155,123호이고, ’24년 전체 실적은 428,244호로 ’23년 실적(428,744호)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남. - 12
eiec.kdi.re.kr
가격대별 양극화는 자산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주거 사다리를 무너뜨리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저가 주택 소유자들의 자산 증식 기회가 줄어들고, 고가 주택 소유자들과의 격차는 더욱 벌어지게 됩니다.
부동산 시장의 하이퍼 양극화는 단순한 경제 현상을 넘어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주거 불평등, 자산 격차 심화, 지역 간 불균형 발전 등 다양한 사회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개입과 함께 시장 참여자들의 인식 변화가 필요합니다.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한 정책, 다양한 주거 유형 공급, 자산 불평등 해소를 위한 제도적 장치 등이 마련되어야 할 것입니다.
➡ 부동산 시장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싶다면
한국부동산원'의 부동산통계정보 시스템을 활용해보세요.
지역별, 유형별 부동산 가격 동향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https://www.reb.or.kr/r-one/portal/main/indexPage.do;jsessionid=095DCE162D011973C964AA6412C41107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통계, 통계조회, 복수통계, 변동비교통계, 사칙연산통계
www.reb.or.kr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헷갈리는 LTV와 DSR과 DTI ?? 차이점 알아보기
부동산 공부를 시작하면서 가장 많이 듣는 단어가 LTV와 DSR과 DTI입니다. 부동산 정책은 한 나라를 이끌어가기 위한 정책 중 가장 중요한 이슈이기 때문에 뉴스에 안 나오는 날이 없습니다. 나와
grayon.tistory.com
주택청약통장(저축) 뭔지 알고서 저축하자
집은 한국에서 매우 중요한 부의 기준이며 안정된 생활의 기준이 되었죠. 그래서 주택청약 안 들어놓으면 매우 경제관념이 없는 사람이라고 취급당하기도 합니다. 저도 예전에 멋모르고 청약통
grayon.tistory.com
분양권 전매제한과 떴다방?
청약에 대해 공부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전매제한이라는 용어가 따라오더라구요. 청약 당첨 뒤에 오는 전매제한이라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야 피해를 보는 일이 없을 것입니다. 청약에 당첨이
grayon.tistory.com
'부동산 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투자의 핵심 : 양극화를 넘어선 하이퍼 양극화 - 둘의 차이점은? (0) | 2025.02.12 |
---|---|
부동산 시장 하이퍼 양극화(Hyper Polarization) 원인 : 꼭 알아야하는 7가지 (0) | 2025.02.11 |
가로주택정비사업의 장단점 비교 : 짧은 사업기간과 1가구 3주택 가능 (0) | 2024.12.25 |
가로주택정비사업의 뜻, 간소화된 절차, 소규모 재개발 사업 (1) | 2024.12.24 |
공시지가와 실거래가를 비교할 때 주의해야 할 점 (1) | 2024.12.23 |